| 베어링 바 I-50×7×4 | 뒷바퀴의 하중 | :P=14,000kg×0.4=5,600kg | 타이어의 접촉 면적 | :a×b=20cm×50cm | 충격 계수 | :i=0.4 | 트렌치 폭 | : l=40cm(수로관 폭) | 허용 응력 | :αb 18kg/mm2 | 차량 방향 | :크로스(베어링바에 평행) | 베어링바 간격 | :p=3.53cm | 베어링바 줄 수 | :n=(b/p)+1 | 베어링바의 접촉면적의 단면계수 | =(50/3.53)+1=15개 |
| :Z=2.57cm3×15=38.55cm3 | 최대굽힘 모멘트 | ::M=P(1+i)(2 l -a)/8 =5,600×(1+0.4)(2×40-20)/8 =58,800kg-cm | 피로도: =M/Z=58,800/38.55=1529.3kg/cm2 | αb>15.3kg/mm2 | 적합 |
| | | 베어링 바 I-50×7×4 | 뒷바퀴의 하중 | :P=20,000kg×0.4=8,000kg | 타이어의 접촉 면적 | :a×b=20cm×50cm | 충격 계수 | :i=0 | 트렌치 폭 | : l=30cm(수로관 폭) | 허용 응력 | : αb 16kg/mm2 | 차량 방향 | :베어링바 줄에 대하여 직각 | 베어링바 간격 | :p=3.53cm | 베어링바 줄 수 | :n=(a/p)+1 | 베어링바의 접촉면적의 단면계수 | =(20/3.53)+1=6개 |
| :Z=2.57cm3×6=15.42cm3 | 최대굽힘 모멘트 | :M=P(1+i)( l 2-b)/8 =5,600×(1+0.4)(2×40-20)/8 =18,000kg-cm | 피로도: =M/Z=18,000/15.42=1167.3kg/cm2 | αb>11.7kg/mm2 | 적합 |
|